개발팀장이 되면서 겪게된 점들 1

 


                                            <팀원을 모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


첫 한달 

개발팀장을 맡다

2021년 5월 , 기존에 있던 CTO분이 휴직(개인사)을 하게 되면서  개발에 대한 모든 권한을 내게 일임하였다. 
개발에 대한 모든 의사결정을 전부 내게 맡긴 것으로 ,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의 의사결정권한을 갖게 된 것은 그만큼 내게 큰 신뢰가 있었음을 알수 있게해주는 대목이었다.
그러나 전혀 예측하지 않았던 상황이기에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던만큼 처음에는 삐걱거렸다.


가장 첫번째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업무의 배분이었다. 
관리자가 되니까 해야할일은 업무를 만들고 또 그것을 팀원들에게 분배하고 잘 되고있는지 취합하고 관리감독을 하는것이었다. 
군 시절 장교로 복무하면서 겪어봤던 일이긴 했지만, 군복무 당시에도 그닥 잘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럼에도 어쨌든 전반적인 시스템을 이해하고 있었고, 어떻게 구현해야할지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경험이 쌓여있었기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줄 알았다. 

실무자로 일을 할 때에도 항상 업무를 받아서 하지는 않았다. 스스로 돌이켜보건대, 나는 주어진 업무가 없으면 스스로 만들어서 제안하고 기획하여 업무를 진행했다. 

조그마한 스타트업이었던 첫 회사에서부터  내가 할일은 내가 만들어서 곧 잘했다. 어떤 큰 방향만 정해져있다면 그건 큰 어려움은 아니었다. 나에게 일은 항상 있었다. 


매니저가되면서 달라진게있다면 내가 할일만 만드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남이 할 일도 만들어줘야했다. 

다행히 팀원들에 대한 면담을 실시한 결과,(팀원을 맡게되자마자 했던 부분)  마이크로 매니징을 원하지는 않았기때문에 큰 그림을 그리는 정도만 준비하면 됐었다. 
문제는 내 실무를 동시에 진행하면서 팀원들의 업무 방향도 설정해야했기때문에 시간이 배로 들게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두배로 일하지는 않았다. 대신에 내 실무시간을 줄였고 그에대한 초조함은 스트레스가 되었다. 
초조함을 없애고 할 일에 대해 집중해보기로 했다. 


방향을 설정하다

회사의 개발에 큰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었다. 코로나 때문에 개인간 상품거래는 큰 성장없이 현상 유지상태였고, 새상품 프로젝트나 친구초대 등의 마케팅은 별 성과가 없었다. 내가 판단하건대, 회사는 방향성을 잃고 있는 듯 했다. 대표는 새로운 사업쪽에 좀 더 우선 순위를 두고 있던 상황이었다. 


나는 제한된 인력 리소스인 상황에서 최선인 방법을 선택하기로 했다. 그건 바로 현 상황 분석이었다. 
당시 한달정도 급하게 몇가지 업무를 해보고 난 후 깨달았던 점은 뭔가를 개발하더라도 사내에서 그 누구도 팔로우하지 않고 관리감독을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었다. 기존에 있던 것부터 잘 쓰기만 해도 새로운걸 개발할일은없을텐데… 그래서 기존 현상을 파악하는 것을  개발 팀의 큰 과제로 결정하기로 했다. 


2가지 과제를 선정했다.

첫번째로 통계치 뽑아내기.

명확한 방향이 없었기 때문에, 업무를 만들어내기가 쉽지 않았다. 업무를 만들려면 인사이트가 필요했고 그 인사이트에서 파생된 방향성을 토대로 업무를 착착 계획해내야했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통계치에 대한 부분이 아직 정리가되어있지 않은 부분이 많았고, 아직은 개척된 데이터가 없었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데이터를 통해서 얻어낼 인사이트가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대표와 CTO에게 앞으로 현상황 분석을 위해 관리자페이지에 통계치를 집중해서 넣겠다고 알리고, 한달동안 데이터를 뽑아내기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디뎠다. 

두번째로 제한된 인력자원에서 새로운걸 만드는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기존 개발된 기능을 체크하고 발전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팀장을 맡고 난 뒤 한달동안 업무가 계속해서 생겨나고 해야할 업무들이 쌓이는걸 직접 경험하니 아... 이게 쉽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계속해서 버그나 수정요청사항이 들어왔고, 그에대해 대응하는 것까지 해야했다.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다보면 예상치 못한 사태로 인해 일정이 미뤄지기 마련인데, 그런 부분까지 생각해서 일정을 계획하지 못하기도 했고, 기존 업무가 발을 잡는다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다.

또한, 새로운걸 개발하면 새로운걸 개발한데 유지보수를 하느라 신경을 써야했다. 무엇보다 테스트환경도 완벽하게 유지되어 있지 않았다. 더불어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는데엔 사람이 부족했다. 기존거+ 새로운거까지 하기엔 사람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채용을 시도했다. 
생각보다 절망적이었다. 사람들은 중소기업에는 큰 관심을 주지 않았다. 몇 명내가 주도해서 면접을 보긴했지만 채용까지 이뤄지진 않았다. 인사 절차에 힘을쓰는 것 역시 큰 리소스 낭비였다. 거기까지 신경을 쓴다면 정작 개발업무도 잘 못하게 되는 상황이었다. 
정말 필요한 업무인것에만 집중해야했다. 사람이 뽑히기 전까지는 업무량을 초과해서 만들지 않아야했다. 아니면 금새 지쳐버릴테니...  


한달정도 일을 하고 나니 팀 관리, 사람관리, 절차에 대한 관리에 대해 큰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우연찮게 넷플릭스문화를 적은 책을 읽게되었다. 

먼저 적용할것은 어른으로 대우해주는 것, 즉 자유를 주되 책임을 지게 하는 것이었다. 
불필요한 과정과 절차는 최소화 할 것이고, 그만큼 나는 관리감독을 줄여 시간을 확보해낼것이다. 


내가 오롯이 책임을 진다 생각했는데, 책임을 직원들에게 맡기는 맞는걸까? 
직원들이 일의 맥락과 핵심을 이해했는지 파악해야한다. 
회사가 정확히 어디에있고 이뤄내려는게 무엇인가? 계속해서 확인하고 이야길 해야한다. 개발팀장은 대표의 생각이 필요하고, 개발팀원은 개발팀장의 생각이 필요하다. 
나는 대표의 생각을 계속해서 들어야한다.
비즈니스가 당면한 과제를 분명히 해야한다. 




나는 점점 내가 직접 실무개발을 하는것보다는 사람들을 다루고, 일정을 정리하고 큰 방향성으로 몰고가는 것, 지원하는 것에서 큰 재미를 느끼고 있는 것 같았다. 

pm으로서 할수 있는 것들을 배우고 익혀나가는 시간을 가져보는게 좋겠다. 공부의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업무를 얼마나 하느냐가 중요한거지, 몇시간을 다 채우느냐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개발같은 지식노동에서는 8시간을 엉덩이 붙여 일한다고 성과가 더 잘 나오는 것도 아니다. 이점을 계속해서 기억해야한다. 


하루에 1시간을 일하더라도 원하고자 하는 방향대로, 속도로 나아가는지만 체크한다. 

물론 상한선과 하한선은 있겠지만 그 사이에서는 자유롭게 자기 능력대로 하게하면 된다. 

쉬엄쉬엄하면 뭐.... 어때 나도 그러고 싶은데. 내로남불 하지는 말자. 



댓글

  1. 고민과 실제가 잘 녹아있는 글 잘 보았습니다. 멋지시네요!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frame 보안 문제 우회 및 해결법 1

iframe 보안 문제 우회 및 해결법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