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팀장이 되면서 겪게된 점들 1

이미지
                                                         <팀원을 모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다. > 첫 한달  개발팀장을 맡다 2021년 5월 , 기존에 있던 CTO분이 휴직(개인사)을 하게 되면서    개발에 대한 모든 권한을 내게 일임하였다.   개발에 대한 모든 의사결정을 전부 내게 맡긴 것으로 ,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의 의사결정권한을 갖게 된 것은 그만큼 내게 큰 신뢰가 있었음을   알수 있게해주는 대목이었다. 그러나 전혀 예측하지 않았던 상황이기에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던만큼 처음에는 삐걱거렸다. 가장 첫번째로 어려움을 겪었던 것은 업무의 배분이었다.   관리자가 되니까 해야할일은 업무를 만들고 또 그것을 팀원들에게 분배하고 잘 되고있는지 취합하고 관리감독을 하는것이었다.   군 시절 장교로 복무하면서 겪어봤던 일이긴 했지만, 군복무 당시에도 그닥 잘 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럼에도 어쨌든 전반적인 시스템을 이해하고 있었고, 어떻게 구현해야할지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경험이 쌓여있었기때문에 큰 문제가 없을 줄 알았다.   실무자로 일을 할 때에도 항상 업무를 받아서 하지는 않았다. 스스로 돌이켜보건대, 나는 주어진 업무가 없으면 스스로 만들어서 제안하고 기획하여 업무를 진행했다.  조그마한 스타트업이었던 첫 회사에서부터  내가 할일은 내가 만들어서 곧 잘했다. 어떤 큰 방향만 정해져있다면 그건 큰 어려움은 아니었다. 나에게 일은 항상 있었다.   매니저가되면서 달라진게있다면 내가 할일만 만드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 남이 할 일도 만들어줘야했다.  다행히 팀원들에 대한 면담을 실시한 결과,(팀원을 맡게되자마자 했던 부분)   마이크로 매니징을 원하지는 않았기때문에 큰 그림을 그리는 정도만 준비하면 됐었다.   문제는 내 실무를 동시에 진행하면서 팀원들의 업무 방향도 설정해야했기때문에 시간이 배로 들게 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두배로 일하지는 않았다. 대신에 내 실무시간을 줄였고

'16.7.21 전역후 생각



다음은 2016년 7월의 생각이다.
군대 전역을 하고 정치적 제약에서 자유로워졌으니 할말을 해야 겠다.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소속 되어있음을 절실히 느끼면서 요즘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한다.

먼저, 과거의 나는 나름 소수 엘리트들에 의해서 정치가 진행되는 엘리트주의를 선호한다고 주장한 바가 있는데
다시 생각이 바뀌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내가 이 나라의 복지적 혜택을 몸소 받았음이다. 

경제적으로 독립하기 전까지는 내 스스로가 세금을 내지도 않았을 뿐더러, 그 세금으로 국정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관심도 없었고,
영향도 덜 받았다고 '느꼈다'.

내가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나라가 내게 큰 도움을 주고 있고 그 나라가 그렇게 운영되는 것이 바로 나와 내 이웃, 동포들의 세금으로 이루어짐을 직접 피부로 느끼게 되었다. 

하지만 돌이켜 보니, 나는 대한민국이란 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혜택을 받고 있었던가.

과연 부패한 독재, 엘리트 사회에서라면 나는 그들이 쥐어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었을까?

나혼자 자수성가해서 잘 성장했다면 몰라도, 애초에 그런 기회조차 주지 않았다면 나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러한 것들을 생각해보게 되었다.

우매한 대중들에 의한 민주주의를 싫어했었다.

알려고 하지도 않고, 행동조차 하지 않으려하면서 자신들의 이익만 챙기는 막연한 대중들을 비난하면서

정작 나는 나를 비추는 거울을 외면하고 있었던 것이다. 나 역시 내가 비난 하던 대중들과 다를 바 없었는데...

이상적으로라면 독재, 엘리트 주의를 찬성한다. 그런 훌륭한 사람들이 있다면야 
정말 플라톤이 말하는 철인이 등장한다면 민주주의 보다는 더 나을 것임은 지금도 자신한다.

그러나 현실이 그렇지 않다. 현실적으로 인간들은 굉장히 이기적이고 탐욕적이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존재하지만  이건 별 의미기 없는 것이다.

이기적이고 탐욕적인 그 본능이 이미 이상과 현실을 갈라놓은 것이다.

현실에서 본다면 독재, 엘리트는 존재해서는 안되며, 민주주의만이 그나마 가장 인간의 자유를 보장 할 수 있는 장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민주주의가 바로 생물다양성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고 본다.

의사결정은 느릴지라도 그런 의견의 다양성이 인간의 진보를 이끈다고 믿는다.

현실사회에서 민주주의만이 완벽한 답이다. 

사회주의냐, 자유주의냐에 대해서는 생각이 반반 갈린다. 요즘에는 사회주의로 의견이 많이 쏠린다.

건강한 민주주의를 위해서는 자유주의보다는 사회주의를 택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민주적 의사결정이 좀더 현명해지려면 모두가 어느정도의 지성과 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자유주의에서는
그것이 많이 힘들다. 

민주적 의사결정이 항상 옳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원치 않았던 결과가 나오더라도 
교육의 결과에 따라 그것을 바로 고치느냐, 아니면 똑같은 실수를 반복하느냐가 갈린다고 생각한다.
어떤 집단은 도태할 것이고, 어떤 집단은 진보 할 것이다.

하지만 이역시도 절대적인 정답은 없다. 과연 무한한 시간으로 영역을 크게 비춰본다면
집단이 옳았다고 생각했던 결정이 정말 끝까지 옳았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역사적으로 봤을때 100% 옳았던 것이 얼마나 될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iframe 보안 문제 우회 및 해결법 1

iframe 보안 문제 우회 및 해결법 2

개발팀장이 되면서 겪게된 점들 1